[SOH] 최근 미국에서 홍콩 시위 지지로 중국의 경제 보복을 받은 프로농구(NBA)와 중국의 인권상황을 풍자해 검열 보복을 받은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상반된 입장 대처가 눈길을 끌고 있다.
미국프로농구(NBA) 구단 휴스턴 로키츠의 대릴 모리 단장은 최근 자신의 트위터에 "자유를 위한 싸움, 홍콩을 지지한다"는 글을 올렸다.
그러나 구단을 후원하는 중국 기업들이 잇달아 협력을 중단하겠다고 위협하자 모리 단장은 결국 글을 삭제하고 자신이 “복잡한 사건(홍콩 시위)에 대한 한가지 판단에만 기반해 한쪽 편만 들었다”고 해명했다. NBA도 보복 확대를 우려해 성명을 내고 모리의 홍콩 시위 지지 트윗에 유감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미 여야에서는 “원칙보다 이익을 우선시했다”는 초당적인 비난이 쏟아졌다.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에 따르면 휴스턴 로키츠 연고지인 텍사스 출신의 테드 크루즈(공화) 상원의원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 “거금을 쫓아 부끄럽게 물러섰다”고 NBA의 사과를 비판했다.
릭 스콧(공화·플로리다) 상원의원은 “중국공산당 통치 하에서 자유를 위해 싸우는 이들을 지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애덤 실버 NBA 총재와 대화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에서도 중국의 경제 보복에 무릎 꿇은 NBA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텍사스 출신인 베토 오로크 전 하원의원은 트위터에 "NBA가 사과해야 할 것은 인권보다 이익을 노골적으로 우선시한 점"이라고 지적했고, 빌 패스크렐(뉴저지) 하원의원은 실버 총재에게 서한을 보내 부끄러운 대응으로 NBA의 역사에 영구적인 오점을 남겼다고 비판했다.
영어와 중국어 버전의 수위를 달리 한 NBA의 유감 성명도 논란이 되고 있다.
NBA는 영어로 된 공식 성명에서 ‘유감’(regrettable)을 표명한 것과 달리 중국어 성명에선 ‘부적절한’(inappropriate) 견해에 대해 ‘극도로 실망스럽다’(extremely disappointed), 모리의 시각이 ‘중국 팬들의 감정을 심하게 다치게 했다’ 등 중국 정부가 정부 칙령에 맞선 상대를 비판할 때 사용하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미국의 인기 애니메이션인 '사우스파크'의 두 제작자는 중국의 검열 보복을 비꼬는 거짓 사과문으로 당당히 맞서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2일 사우스파크 제작진은 최신 애니메이션 작품을 공개했다. 이 작품에는 중국 교도소의 인권 유린을 풍자하고, 시진핑 주석을 유명 곰 캐릭터 ‘푸’에 빗대 묘사한 장면이 포함돼 있었다.
이로 인해 사우스파크는 중국판 유튜브 '유쿠(優酷)'에서 해당 작품 뿐 아니라 모든 동영상을 삭제당했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팬 페이지에서도 동영상이 가위질당했다.
사우스파크 측은 7일(현지시간) 트위터의 자사 공식 계정을 통해 제작자인 ”트레이 파커와 맷 스톤의 중국에 대한 공식 사과문“이라는 제목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사과문에서 ”NBA처럼 우리도 중국의 ‘검열’을 환영한다. 역시 자유나 민주주의보다는 돈이 좋다. 시진핑은 ‘푸’(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유명 곰 캐릭터)와 전혀 닮지 않았다. 위대한 중국의 공산당이여 영원하라! 올 가을 사탕수수 풍작을 기원한다! 중국, 이제 됐지?“라는 내용으로 중국의 보복 행태와 중국 국가주석을 조롱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양심보다 이익을 택한 NBA와 비교된다", "중국의 압력에도 당당한 모습이 멋지다", "통쾌한 사과문이다"등의 찬사와 호응을 쏟아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