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3.31(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해제 공산당 문화-(51) 4장 3절 천지를 두려워않고 입만 열면 거짓말과 욕설이며 행위가 저속
 
  
2009-01-28 10:11:51  |  조회 9205
3. 천지를 두려워않고 입만 열면 거짓말과 욕설이며 행위가 저속

중국은 예부터 ‘예의의 나라(禮儀之邦)’로 알려졌고,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하늘을 공경하고 신을 믿으며, 선악에 보응이 있음을 믿었습니다. 전통적으로 말하면 중국인은 신불(神佛)과 성현(聖賢)의 가르침을 준수하면서 자신의 인격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하늘, 땅, 사람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는 공경하고 자기를 낮추고 겸손하며, 온 사회는 예의를 통해 규범화 되었습니다.
그러나 공산당이 고취하는 것은 ‘하늘도 땅도 두렵지 않다’는 것입니다. 중공은 정권 탈취를 위해서는 오직 사람을 개조하여 아무런 두려움도 없게 만들어야한다고 했습니다.  중공이 정권을 탈취하고 운동을 일으키는 데 이용하기가 편리했던 것입니다. 만약 사람이 사람에 대한 예의가 있고, 사물을 소중히 여길 줄 알며, 천지신명(天地神明)에 대한 경외가 있다면, 이런 사람은 ‘당의 말을 듣는 것’을 첫 자리에 놓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당문화를 건립하는 과정 중에, 중공이 주입한 무신론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중화민족 선조들이 지녔던 천지신명에 대한 경외와 생명의 최후에 대한 관심에서 멀어지게 했습니다.
당문화의 투쟁사상은 또한 중국인들로 하여금 “천 길 절벽이 우뚝 솟음은 욕심이 없기에 강한 것이며, 바다가 수많은 하천을 받아들일 수 있음은 도량이 크기 때문이다.”라는 격언도 믿지 않게 했으며, 또 “자신이 가지려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는 가르침도 믿지 않게 만들었습니다.
당문화의 유물주의는 중국인들로 하여금 동방에서 온 ‘자비(慈悲)’와 서방에서 온 ‘박애(博愛)’를 ‘인민을 마취시키는 정신적 아편’과 ‘허위를 감추는 가리개’로 여기게 했습니다. 사람들의 언어 속에는 ‘만약 남이 나를 건드리면, 나도 반드시 그 사람을 건드리겠다’는 식의 기세가 등등하게 내포되어 있고, ‘하늘과 싸우고 땅과 투쟁한다’는 식의 광기와 오만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행동거지가 저속하고, 하는 말이라고는 온통 거짓말과 욕설이지만, 이를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영광으로 여깁니다.


1) 입만 열면 거짓말

세계 어느 나라에든 모두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나라의 전반 사회적 기제는 성실과 신용을 기초로 하는 것으로, 신용을 중시하는 것은 한 개인이 사회에서 장기간 발을 붙일 수 있는 자본이 됩니다. 하지만 중공 통치하에서 거짓말은 중공 사회의 ‘나라를 세운 근본’이 되었으며, 전반 사회는 거짓말로 지탱되기에 거짓말은 사람들이 사회에서 생존하는 기본기능이 되었습니다.
중공의 역사는 바로 한 부의 거짓말 역사이며 거짓말은 공산당 통치를 유지하는 주춧돌입니다. 공개적이거나 아니면 사적으로나, 내부에 대해서나 아니면 외부에 대해서나, 큰일이건 작은 일이건 막론하고, 곳곳이 모두 거짓말로 가득 차 있습니다. 사람들은 정치투쟁 가운데서 중공을 본보기로 거짓말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당의 요구에 부합하고, 자신이 운동에서 공격 대상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당을 따라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즉 공산당과 함께 ‘영국을 넘어서고 미국을 따라잡자’, ‘한 묘당 수확이 만근에 달하게 하자’, ‘형세가 이처럼 좋을 수 없다’는 등의 구호를 외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국대륙에는  “촌(村)은 향(鄕)을 속이고, 향은 현(縣)을 속이고, 하급은 상급을 속이며, 성장(省長)은 중앙을 속이고, 한 급 한 급 위로 올라가며 속이는데, 줄곧 국무원까지 속이는구나.” 하는 통속적인 해학시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다시 돌이켜보면 사람들은 이런 것에 습관이 되어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기게 되었으며, 거짓말을 하는 것이 도리상 당연한 일이며 전 세계와 사회는 바로 이렇게 운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화 『핸드폰(手機)』은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하는 사회현상의 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바람을 피우기 위해, 정교한 거짓말을 엮어 다른 사람을 속이는데, 가정은 거짓말을 만들고 거짓말을 허물어뜨리는 전쟁터가 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이뿐만 아니라 생활하면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수많은 전형적인 거짓말을 연출해냈습니다. 전 사회에 핸드폰 공황증이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핸드폰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핸드폰 때문에 거짓말이 쉽게 폭로되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영화감독의 말에 의하면 “많은 경우 거짓말은 우리의 생활을 지탱해 줍니다.”  
전통 관념 중에서, 도가는 진인(眞人)이 되는 것을 주장하고, 불가에서는 거짓말(誑語)을 하지 않음을 주장하며, 유가에서는 믿음(信)을 주장하는데, 모두 거짓말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공자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오상(五常)으로 삼았습니다. 그 중 사람과 사람간의 성실과 신용[誠信]은 사람의 가장 중요한 미덕 중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공자 역시 논어 위정편에서 “사람으로서 신용이 없다면 그 가능함을 알 수 없다(人而無信,不知其可)”라고 하였습니다. 즉 사람에게 만약 신용이 없다면 그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뜻입니다.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 역시 어찌 이와 같지 않겠습니까? 논어 안연편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나와 있습니다. 하루는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법에 대해 공자에게 가르침을 청한 적이 있습니다. 공자는 “첫째는 백성들로 하여금 의식이 풍족하게 하는 것이고, 둘째는 국가가 강대한 군대를 가지는 것이고, 셋째는 신민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자공이, “만약 부득이하게 그 중 한 가지를 버려야 한다면, 마땅히 어느 것을 먼저 버려야 합니까?"라고 묻자, 공자는 “군대를 버려야 한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자공이 또 묻기를 “만약 또 한 가지를 버려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하자, 공자는 “의식을 버려야 한다. 풍족한 식량을 얻지 못할지라도, 신용을 유지해야 한다. 만약 신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나라는 조만간 멸망하게 될 것이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유물론은 물질이 1차적이라고 강조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문제를 생각할 때 모두 물질이익에서 출발합니다. 전통적 관념이 비판과 부정을 당하게 되자, 중국인들은 거짓말에 대한 그 어떤 거리낌이나 도덕에서 오는 제약도 느끼지 못했습니다. 전반 당문화 체계는 또한 거짓말 하는 것을 고무격려하기에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는 것에 아무런 죄책감도 느끼지 못합니다. 때문에 거짓말을 하는 것은 일종의 본능적인 행위까지 변했습니다. 오직 나에게 유리하기만 하다면, 이유를 불문하고 하늘도 두렵지 않고 땅도 두렵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거짓말을 이용해 자신의 이익을 취하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으며, 비단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할뿐만 아니라, 거짓말을 할 때 미리 그 다음에는 어떻게 말하고 어떻게 하면 더욱 그럴듯하게 될 것인지를 생각합니다.  
또 어떤 사람은 거짓말을 하고 성실과 신용을 지키지 않는 사회현상을 오직 이익만 추구하는 서양 ‘자산계급’의 특유한 시장본성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시장경제는 서양 선진국에서 이미 수백 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이들 국가들은 결코 시장경제를 실행했다는 이유로 사기꾼 사회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오히려 반대로 서방국가들은 성실과 신용을 매우 중시하며, 성실과 신용은 가장 불가결한 개인의 인품이자 인생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 되었습니다. 서방에서 성실과 신용은 이미 경제활동에서 가장 기본적인 준칙이 되었으며, 또한 기업이 추구하는 목표이기도 합니다. 이익과 신의(信義) 사이에 충돌이 생길 때, 사람들은 신의를 선택하는데, 오직 신의만이 지속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시적인 사기는 단기적으로는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결국에는 기업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것입니다. 서방 국가에서 성실과 신용을 지키지 않는다면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 결국에는 한 걸음도 떼기 힘들게 됩니다.  
당문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거짓말을 할 때 또한 두 벌의 언어 체계 중에서 겉 다르고 속 다르게 표현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구이저우성 당 서기 류팡런은 “덕으로 나라를 다스림을 수행하고…, 철저하게 반 부패투쟁을 전개하자.”고 말했지만, 660여 만 위안을 수뢰한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습니다.
▶윈난성 성장 리자팅은 “나의 가장 큰 염원은 앞으로 5년 내에 아직도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160만 인구의 빈곤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고 말했지만, 그는 1800만 위안을 수뢰한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청커제는 “광시(廣西)성에는 아직도 700만에  달하는 인구가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생각하면, 주석을 담당하고 있는 나 이 사람은 밤에 잠도 오지 않습니다.”고 말했지만, 2000여 만 위안을 수뢰하여 사형처벌을 받았습니다.
▶상하이 당서기이자 정치국위원인 천량위는 “부패에 반대하고 청렴을 제창하는 사업은 한시라도 느슨해져서는 안 되며, 시종 두뇌가 청성해야 하고, 기치가 선명해야 하며, 태도가 단호해야 한다.”고 말했으나, 수십억에 달하는 사회보험기금 사건에 연루되어, 면직당해 조사를 받았습니다.

마찬가지로 일반 민중에게도 역시 두 개의 얼굴, 두 벌의 언어체계가 존재합니다. 정치적 태도를 표시하거나 정치학습 체험을 쓸 때는 아주 냉담한 한 벌의 정치적 언어를 사용하고, 생활 속에서는 또 다른 한 벌의 비교적 인간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사람마다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하는 이것은 중공의 정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이미 사람들의 사유습관으로 변해버렸습니다. 거짓말은 사회적으로 성실과 신용의 위기를 초래했고, 최후에는 국민들이 사회도덕이 타락한 후의 쓴 열매를 삼키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전면적으로 부패되고, 전면적으로 가짜를 날조하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스스로 모두 “법은 민중을 책임지지 않는다.”라고 말하지만, 그 누구도 중공이 조성한 이 성가신 일을 어떻게 수습해야 할지 모릅니다.



對중국 한국어 단파방송 - SOH 희망의소리
11750KHz, 중국시간 오후 5-6시, 한국시간 오후 6-7시

http://www.soundofhope.or.kr







1619 해체공산당문화(58)-하편-5-선전중에서흔히보는당문화 2009-10-17
1585 해체공산당문화-(57)-결론 2009-09-24
1525 해체공산당문화-(56)-4) 당문화 사유방식에서 뛰쳐나오지 못하는 사람들 2009-07-28
1524 해체공산당문화-(55)-4) 당문화 사유방식에서 뛰쳐나오지 못하는 사람들 2009-07-21
1503 해체 공산당 문화-(54)-소위 새로운 단어 역시 당문화 사상 속에서 만든 것 2009-06-14
1477 해체 공산당 문화-(53)당문화를 없애면 정상인의 말과 사유도 불가능 2009-06-14
1292 해제 공산당 문화-(52) 4장 3절 천지를 두려워않고 입만 열면 거짓말과 욕설이며 행위가 저속 2009-01-28
1291 해제 공산당 문화-(51) 4장 3절 천지를 두려워않고 입만 열면 거짓말과 욕설이며 행위가 저속 2009-01-28
1267 해체 공산당 문화-(50)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10 2008-07-10
1266 해체 공산당 문화-(49)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9 2008-07-10
1263 해체 공산당 문화-(48)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8 2008-06-25
1262 해체 공산당 문화-(47)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7 2008-06-25
1260 해체 공산당 문화-(45)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5 2008-06-25
1259 해체 공산당 문화-(44)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4 2008-06-25
1255 해체 공산당 문화-(43) 제4장 사상이 개조된 후 사람들의 표현 2008-06-02
  
1234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459,60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