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해 3월 유엔(UN)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가 펴낸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5.951점으로, 전체 137개국 중 57위, OECD 38개국 중 35위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연구보고서 ‘생애주기별 한국인의 행복지수 영향 요인(2023)’에서도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6.68점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으로 자신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전체의 34.7%에 불과한 것은 한국인의 행복도가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현저히 낮다는 의미다.
행복한 사회는 그 모습이 비슷하지만 불행한 사회는 저마다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미국의 심리학자 에드 디너(Ed Diener)는 한국인들이 높은 소득에 비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원인으로 △과도한 물질 중시 △타인과의 지나친 비교를 꼽았다.
한국인은 한반도의 특수한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의지와는 무관하게 물질에 관한 강한 욕구와 지위 및 석차에 따라 주어지는 보상 시스템에서 살아왔다. 이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인간의 본능 중 하나인 비교의식과 우월 및 열등감이 강화되고 내재화되는 경향이 있다.
비교의식은 생존과 번영을 위한 도전의 동기가 되기에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나칠 경우에는 마음을 병들게 하고 타자와의 진실된 교류와 연대를 해쳐 모두를 불행에 빠뜨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교의식은 혐오와 차별, 배제의 논리로 점철된 삭막한 사회 분위기를 만든다.
특히 비교의식의 방향 설정 오류에서 나오는 열등감은 상대와 자신을 비교 평가한 불쾌한 자기 인식을 통하여 자신감의 결여를 유발한다. 이는 일상에서 비정상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비교의식은 불행의 지름길
비교의식은 “우월의식이나 열등의식으로 빠지게 하는 파괴적인 비교의 태도” 또는 “우월의식이나 열등의식에서 나오는 병적인 비교의 태도”를 가리킨다. 비교의식의 증상은 자신을 상대방과 습관적으로 비교하여 생각하고 비교하는 말을 자주 하며, 비교의 결과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 등으로 나타난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이 우월하게 되기를 지나치게 추구하고, 열등하게 비교당하는 것을 견딜 수 없어 하며, 자주 분노와 증오심을 표출한다. 또한 극단적이고 파괴적인 말을 쉽게 하고 돌발적으로 위협적인 행동을 취할 뿐만 아니라 신경이 예민하고, 냉소적인 말을 잘하며 잦은 좌절로 불합리한 두려움에 사로잡힌 모습을 나타낸다.
누군가는 이런 말을 했다. “인생을 비참하게 만드는 것은 가난에서 오는 슬픔도, 실패에서 오는 고통도 아니며 재능이 모자라서 내뱉는 탄식도 아니다. 그것은 '비교'로부터 나온다"고 했다. 실제로 비교의식은 그 누구라도 낙담시키고 침체에 빠지게 할 수 있다.
타인에 대한 지나친 비교의식은 상대를 평화와 친교의 대상이 아닌 경쟁과 시기의 대상으로 보게 한다. 이런 성향의 사람은 깊은 열등감 또는 성공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로 인해 항상 갈등이 증폭된 의식에 휩싸여 있다.
그러므로 비교의식에 사로잡히면 스스로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늘 고단하며, 매사에 불만이 많고, 경쟁심리에 압박을 받아 긴장을 늦추지 않는 전투적 자세를 갖고 살아가게 된다. 따라서 지나친 비교는 스스로를 황폐하고 실패하게 하여 자기 발전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계속)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