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8(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아하! 그렇구나] 사찰에서는 왜 종을 108번 칠까?

편집부  |  2022-10-11
인쇄하기-새창

[SOH] 당나라 시인 장계(張繼)가 지은 풍교야박(楓橋夜泊·풍교에서 밤에 배를 대다)이란 시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月落烏啼霜滿天(월락오제상만천)
달 지고 까마귀 울어 하늘 가득 서리가 내려
江楓漁火對愁眠(강푸어화대수면)
강가의 단풍과 고깃배 불빛을 보며 시름 속에 졸고 있는데
姑蘇城外寒山寺(고소성외한산사)
소주성 밖 한산사에서
夜半鐘聲到客船(야반종성도객선)
깊은 밤 울리는 종소리가 객선까지 닿는구나”

이 한 수의 시를 통해 시인 장계의 이름과 한산사의 종소리가 천하에 이름을 날리게 됐다.

또 다른 당나라 시인 장대(張岱)는 ‘서호십경(西湖十景) 남병만종(南屏晚鍾)’이란 시에서 정자사(淨慈寺)의 아름다운 종소리를 묘사했다.

위 두 절의 종소리는 크고 맑으면서 유장해 감동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이 시가 회자되는 이유는 종소리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 사찰에서 종을 칠 때는 108번을 지킨다. 우리나라에서 신년을 알리는 제야의 종소리는 33번 울리지만, 원래는 108번이다. 왜 하필 108번일까?

종(鐘)은 장중하면서도 맑은 소리가 나는 까닭에 예부터 사찰의 중요 법기(法器) 중 하나로 여겨졌다. 

전설에 따르면 사원에서 타종하는 전통은 남조 양무제(梁武帝) 때부터 시작됐다.

일찍이 양무제가 고승 보지(寶志)화상을 만나 가르침을 청했다. “어떻게 해야만 지옥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까?”

그러자 화상은 “사람의 고통은 일시에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만약 종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잠시나마 고통이 멈출 수 있을 겁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양무제는 조서를 내려 사찰에서 매일 종을 치도록 했다.

사찰에서 사용하는 종은 용도에 따라 범종(梵鍾)과 환종(喚鍾) 두 가지로 나뉜다. 

범종은 주로 많은 사람들을 소집하거나 혹은 아침저녁으로 시간을 알릴 때 사용한다. 반면 환종은 법회나 경축행사에서 불사(佛事)의 시작을 알리는 용도로 쓰인다. 

이 외에도 사찰에서 명령을 전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일상적인 기상, 식사, 수면 혹은 승려를 소집하거나 경을 읽고 예불하는 것 등에 모두 종소리를 신호로 삼았다.

당나라 때 회해선사(懷海禪師)는 ‘백장청규(百丈清規)’에서 “총림의 호령은 큰 종에서 시작된다”고 했다. 흔히 사찰의 대전(大殿) 앞에는 좌우 양쪽에 종루(鐘樓)와 고루(鼓樓)를 설치해 각각 종을 치고 북을 울린다. 

사찰의 승려들은 하루 일과를 시작하거나 잠자리에 들 때 종과 북을 울려 경계로 삼고 수련을 격려한다. 때문에 ‘신종모고’(晨鍾暮鼓·새벽에는 종을 치고 저녁에는 북을 친다)라는 성어가 생겨났다.

‘백장청규’에는 “새벽에 종을 치는 것은 긴 밤을 깨뜨리고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이고 저녁에 종을 치는 것은 어두운 미혹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이다. 

종을 칠 때는 천천히 해야만 소리가 길게 울려퍼진다. 무릇 36번씩 3차례 종을 치는데 총 108번을 친다”라는 말이 나온다.

그럼 왜 하필 108번일까? 여기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설에는 ‘주역(周易)’에서 9를 상서로운 의미로 보는데 108이 9의 배수이기 때문에 지고무상(至高無上)한 상징으로 삼았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서는 불교에서 말하는 사람의 번뇌가 연중 108가지라 종을 108번 쳐서 인간의 모든 번뇌를 제거하는 의미로 삼았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따르면 사찰에서 108번 종을 치는 것은 1년의 의미가 담겨 있다. 즉, 1년 12달, 24절기, 72후(候, 5일이 1후이다)를 모두 합하면 108이 나오며 이는 매년 끊임없이 순환하는 것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전통사회에서는 또 제야(섣달그믐밤)에 종을 쳐서 복을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 

반고(班固)가 저술한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는 “종이란 움직임(動)로 양기(陽氣)가 황천(黃泉) 아래에서 만물을 움직여 기르는 것이다”라고 해석했다. 

이 말의 의미는 종이 지하의 양기를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종을 치면 양기가 지하에서 나와 만물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야에 치는 종소리는 인생의 108번뇌가 제야와 함께 모두 사라지게 하고 새해 첫새벽을 연다는 의미가 있다.


편집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408 [아하! 그렇구나] 최고행정기관, 왜 '내각'일까?
편집부
22-10-25
1407 [SOH 이슈] 우리의 식탁을 위협하는 GMO
디지털뉴스팀
22-10-22
1406 [SOH 이슈] 대한민국의 GMO 현주소
디지털뉴스팀
22-10-20
1405 [古中文化] 관(关)
편집부
22-10-17
1404 [古中文化] 임칙서의 사위 고르는 법
디지털뉴스팀
22-10-15
1403 [古中文化] 성공의 열쇠 ‘마저작침(磨杵作針)’
편집부
22-10-13
1402 [SOH 산책] '신통'으로 '업력'과 싸울 수는 없다
편집부
22-10-12
1401 [아하! 그렇구나] 사찰에서는 왜 종을 108번 칠까?
편집부
22-10-11
1400 [Whattoon] Xi‘s Squid Game
편집부
22-10-08
1399 [Whattoon] 왜 이래? 나 푸틴이야!
편집부
22-10-06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773,546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