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최근 홍콩이 중국과 장기 이식 지원 공조체제 구축에 나선 데 대해 국제 전문가의 우려가 나왔다.
싱가포르 중국어 매체 ‘연합조보’ 5월 16일 보도에 따르면, 홍콩 의무위생국 루충마오(盧寵茂) 국장은 같은 달 12일 공개행사에 참석해 “의원(병원)관리국이 다음 주 이식 전문가팀을 이끌고 광둥(廣東)성을 방문해 두 지역의 장기 공조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루 국장은 “중국의 장기 기증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매우 선진적”이라고 추켜 세우며, 이번 방문을 통해 홍콩 장기 이식계가 중국의 장기 기증, 분배, 공유 및 이식 방면의 발전에 대한 인식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월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과의 장기 공조 메커니즘에 대한 기초 방안을 수립했고, 4월에도 광저우를 방문해 ‘중국 장기이식 대응 시스템(COTRS·China Organ Transplant Response System)’을 참관했다.
루 국장이 밝힌 계획에 대해 이스라엘 장기이식협회 전 회장인 심장이식 전문의 제이콥 라비 박사는 “국제심폐이식협회(ISHLT)의 학술적 저항을 포함해 국제사회의 반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ISHLT는 전 세계 심부전, 심장, 폐 이식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지견을 나누는 최대 규모의 학술단체이며, 라비 박사는 이 학회의 윤리위원회 위원으로 재임 중이다.
ISHLT는 지난해 ‘인권탄압 연루 가능성’을 이유로 중국의 장기이식 연구논문 발표를 금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라비 박사의 지적은 중국이 홍콩을 강제 장기적출을 통해 장기를 획득하는 시스템에 끌어들일 것을 우려하는 이유에서다.
중국 공산당의 강제 장기적출 흑막은 2006년에 처음 폭로됐고, 이미 여러 국제 조사 단체에 의해 확인됐다.
2020년 3월, ‘중국의 장기 남용을 막기 위한 국제연맹(ETAC)’에 의해 설립된 영국의 독립민간법원 ‘중국재판소(China Tribunal)’는 최종 서면 판결문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
“인체 장기를 강제로 적출하는 만행은 이미 중국 각지에서 대규모로 발생했으며, 파룬궁 수련자들이 그 대상 중 하나, 그것도 주요 인체 장기 공급원일 것이다.”
“위구르인에 대한 박해와 의학적 검사가 집중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상황이다.”
중국재판소는 국제형사재판소(ICTY)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에 대한 기소를 이끌었던 영국 여왕 칙선 변호사(QC) 제프리 니스 경을 비롯한 7명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현재 미국, 캐나다, 영국 등 많은 국가에서 중국 공산당의 비인간적인 강제장기이식 만행을 저지하기 위한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법안에 따르면 강제장기적출에 가담한 사람은 최고 25만 달러 벌금의 민사 처벌, 최고 100만 달러 벌금 및 징역 20년의 형사 처벌을 받게 된다.
홍콩과 본토의 장기 이식 협력과 관련해 라비 박사는 “서방 국가들이 외교적·경제적 노력을 결부해 강제장기적출 만행을 저지하고 홍콩이 강제로 적출한 장기를 사용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