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나라 올해 3분기 합계출산율이 0.7명으로 지난해보다 더 감소한 가운데, 4분기에는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국회에서 방송에서 넘쳐나는 △1인 가구 예능 프로그램과 △불륜 드라마 등이 저출산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구위기특별위원회 위원인 국민의힘 서정숙 원내부대표는 5일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우리나라 출산율 감소와 관련해 “(방송에서) ‘나 혼자 산다’나, 불륜, 사생아, 가정 파괴 (소재를 다룬) 예능이나 드라마 비율이 너무 많다”면서 방송사 프로그램 편성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 원내부대표는 그러면서 “저출산에 기여하는 집단들이 있다”며 “이제라도 따뜻하고 훈훈한 가족 드라마를 많이 개발해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해 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 회의에서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합계 출산율이 0.7명으로 3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라며 “혼인율이 감소하는 것도 문제지만 출산을 기피하는 사회 풍조가 우리 사회에 만연돼 있는 게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출산을 기피하는 사회 풍조 만연도 문제”라며 “정부가 부모급여·돌봄서비스·신혼부부 주거지원 등 각종 대책을 열심히 내놓고 있지만 파격적 정책이 뒤따르지 않은 한 초저출산 상황 타개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짚었다.
서 원내부대표는 "젊은이들에게 물어보면 나라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발목잡기식 일부 정치인의 꼴불견도, 이런 나라에서 아이를 낳고 싶지 않은 이유라 대답한다"며 "이제라도 여의도에 있는 정치인들이 거짓과 선동을 일삼아 아이 낳고 싶지 않은 나라라는 말이 젊은이로부터 나오지 않도록 자성해야 한다"고도 호소했다.
미디어의 프로그램이 저출산을 자극한다는 지적은 지난해에도 나왔다.
앞서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원장을 맡았던 나경원 전 의원도 지난해 11월 KBS라디오에 출연해 MBC ‘나 혼자 산다’를 예시로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한 걸로 너무 인식이 되는 것 같다. 결혼하고 아이 낳는 것이 행복하다는 인식이 들 수 있게 정책도 바뀌어야 되지만 모든 언론, 종교단체, 사회단체들이 같이 하면서 이런 캠페인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