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교내 총격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무기 탐지기를 도입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지난 1월 버지니아주(州)에서는 뉴포트뉴스 초등학교에서 한 교사가 1학년 학생이 쏜 총에 맞아 다치는 사건이 발생한 후 주 내 10개 교육구가 학교 입구에 무기 탐지기를 설치했다.
지난달 글렌 영킨 버지니아 주지사는 첨단 보안 장비와 시스템 구매를 포함해 학교 보안 인프라 개선 사업에 1천640만달러(211억원)의 보조금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영킨 주지사는 “최근 학교에서 일어난 사건은 우리가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 상기시킨다”고 말했다.
이들 기기 대다수는 AI를 활용한다. 가격은 보통 수백만 달러에 달하지만 전국적으로는 많은 학교가 무기 탐지기를 설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교내 총격 사건은 1999∼2017년 연평균 11건이었지만 2018년부터 발생 빈도가 급격하게 늘었고, 지난해에는 사상 최다인 46건으로 집계됐다.
AI 스캐너 제조 업체 이볼브(Evolv)에 따르면 AI 스캐너는 ‘능동 감지'(active sensing)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해 이미지를 생성한 다음 AI가 인식하는 무기의 형태와 이를 비교한다.
한 시간에 수천 명을 탐지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주머니나 배낭 안을 비울 필요가 없다는 것이 업체 설명이다.
의심스러운 물품이 발견되면 실시간 영상 안에 주황색 상자가 그려지고, 보안 요원이 태블릿 PC로 추가 검사를 통해 이를 확인하게 된다.
이 기술은 보통 대형 스포츠 경기장이나 다른 행사장에서 사용됐으나, 교내 총격 사건 증가로 학교에도 도입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주차장이나 차 안 등 학교 건물 밖에서 벌어지는 사건으로부터는 탐지기가 학생이나 교직원을 보호해주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달 1일 기준으로 WP가 집계한 학교 총격 사건 21건 중 최소 14건이 학교 건물 밖에서 발생했다.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