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공자학원의 관련 활동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호주 정부가 자국 내 각 대학에 공자학원과 어떠한 새로운 파트너십도 수립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호주 일간 ‘디오스트레일리안’에 따르면 페니 웡(Penny Wong‧黃英賢) 외무부 장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공자학원에 대해 ‘중국의 글로벌 선전선동 전략을 지지하는 기관’임을 강조하며 이 같이 밝혔다.
웡 장관은 호주 연방정부는 자국 대학의 학문적 자유에 잠재적 위험을 초래하는 외국의 간섭에 주목하고 이를 계속 검토할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같은 날 클레어 오닐(Clare O’Neil) 연방 내무부 장관도 호주국립대(ANU) 국가안보대학에서 연설을 통해 “외국의 간섭 행위를 철저히 배제하겠다“고 언급했다.
오닐 장관은 “외국의 간섭은 호주 민주주의에 대한 핵심적인 위협”이라며, 현재 호주는 ‘대단히 중대한 지정학적 도전’에 직면했다.”고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외국 정부가 △호주 정치인을 포섭하거나 △시위 참여자 촬영 △대학 내 쟁점 논의에 대한 영향력 행사 등을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호주 정부의 이번 입장에 대해, 가장 활발하게 개입하는 외국으로 중국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오닐 장관은 지난해 ‘틱톡’ 등 중국 앱들이 중국공산당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려다 호주보안정보국(ASIO)에 제지당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 “공지힉원... 中 통일전선공작부 산하 스파이 기관
호주에서는 한때 공자학원과 공자학당이 총 67개로 성행했으나 현재는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학 내에 어학센터 형태로 설립되지만, 초·중·고등학교 등에는 수업형태(공자학당)로 개설된다.
미국 등 서방 각국은 공자학원의 실체를 중국 공산당 통일전선공작부 산하 스파이 기관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지난 수년간 퇴출시켜왔다.
공자학원의 위험성을 오랫동안 지적해온 호주의 중국문제 전문가 존 피츠제럴드 스윈번 공대 교수는 “호주 학교에 중국어 수업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공자학원과 엮이면 외국 세력의 간섭이라는 위험요소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각국의 공자학원(공자학당) 교사는 모두 중국에서 고용, 현지에 파견한다. 교사 급여도 중국 정부가 낸다. 공자학원을 유치하는 학교 입장에서는 장소만 대여해주면 공짜로 중국어 교육 프로그램과 중국 어학연수 등을 운영할 수 있어 구미가 당기는 일이다.
그러나 중국의 공자학원 운영본부에서는 중국어 교사 모집 시 우수한 ‘정치적 자질’과 ‘애국심’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대만, 티베트, 파룬궁 등 중공의 민감한 이슈에 대해서는 중국 정부와 입장이 일치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다수의 중국문제 전문가들은 공자학원이 표면상으로는 중국 언어와 문화를 교육하지만, 실질적으로 중국 내 인권문제 등에 관해 중국의 정치 주장을 선전하고 학생들의 반대 의견을 억누르고 있다고 지적한다.
호주의회는 지난 2018년 ‘외국 영향력 투명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외국 정부나 정부기관, 정부소유 등을 ‘외국정부 대리인’으로 등록할 것을 의무화했다. /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