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친대만 행보로 중국과 갈등 중인 리투아니아가 베이징 주재 대사관 소속 외교관들을 급거 전원 귀국시키고 대사관을 잠정 폐쇄했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리투아니아 외교부는 이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과의 외교 현안을 협의하기 위해 외교관들을 불러들였다"면서 ”당분간 주중 대사관은 원격에서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어 “현재 리투아니아 외교관에 대한 중국의 승인 갱신을 기다리며 양측 외교 대표 운영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며, 상호 이익이 되는 합의가 이뤄지면 중국과 대화를 계속하고 대사관 기능을 최대한 회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브리엘리우스 란드베르기스 리투아니아 외교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리투아니아 외교관들의 중국 내 법적 지위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외교가에서는 리투아니아의 이번 조치는 중국의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보고 있다.
앞서 중국은 리투아니아가 지난달 18일 수도 빌뉴스에 대만대표부 개설을 허용하자 베이징에 주재 중이던 리투아니아 대사를 추방했다. 이어 리투아니아에 대해 경제제재를 단행하고 외교관계도 대사급에서 대표부로 격하하겠다고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 정부가 리투아니아에 대사관 명칭 변경을 요구했지만 리투아니아가 동의하지 않으면서 외교관들이 면책 특권을 잃을 것을 우려해 중국을 떠난 것으로 분석했다.
란드베르기스 앞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베이징 대사관의 지위를 더 낮은 직책으로 낮출 것을 요구했다”고 밝힌 바 있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