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5(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SOH이슈] 濠와의 갈등으로 드러난 中의 실체

미디어뉴스팀  |  2021-09-12
인쇄하기-새창



▲ 시진핑 중국 총서기(左)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右)


[SOH] ‘코로나19 기원 조사’ 요구로 본격화 된 중국과 호주의 갈등은 호주에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


중국과 호주의 관계는 2018년 호주의 화웨이 5G 네트워크 참여 금지로 시작됐으며, 지난해 호주 정부가 코로나19의 기원에 대한 국제 조사를 요구한 이후 급속히 악화됐다.


중국은 호주의 코로나19의 기원에 대한 국제 조사 요구에 강력 반발하며, 곧바로 호주산 △쇠고기 △보리 △랍스터 △면화 △목재 등에 보복성 관세 폭탄으로 공격했고, 호주 관광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인들에게 호주로의 유학 및 관광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는 초강경 조치들을 이어 나갔다.


그러나 중국의 이러한 보복은 자국의 경제와 산업을 압박하는 부메랑으로 되돌아 왔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은 최근 중국이 직면한 최악의 전력난의 원인을 호주와의 무역 갈등으로 부터 시작된 중국 정부의 호주산 석탄 수입금지의 여파로 분석했다.


지난해 중국의 호주 석탄 수입 금액은 78억 9천만 달러(8조 7000억원)에 달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호주를 압박한다면 막대한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에서 세계 경기가 다시금 안정되고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중국 정부 역시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건설 제조업, 인프라 투자 활동 등이 대폭 증가해 산업용 전력 수요가 폭증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아직까지도 전기 생산의 60%를 석탄으로 하는 화력 발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석탄 공급이 전력 수급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도 중국은 자신들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이유로 석탄 수급에 대한 대비책도 없이 호주에 대한 막장 보복을 감행했던 것.


석탄 수급 차질의 심각성을 뒤늦게 깨달은 중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콜롬비아산 석탄을 수입하겠다는 궁여지책을 다급하게 내놨지만, 호주산 석탄과 비교해 운송비가 압도적으로 많이 들고 석탄의 질 역시도 호주산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등의 평가를 받으며 하나마나한 대안책이 되고 말았다.


결국 이 같은 상황은 중국내 석탄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고, 올해 초 톤(t)당 고품질 난방용 석탄 가격이 두배 오르는 등이 최악의 사태로 이어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중국이 겪을 최악의 석탄 위기는 아직 시작조차 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SCMP에 따르면, 중국에서 석탄 선적 항구 도시인 친황다오의 발전용 석탄 가격은 올해 7월말  톤당 1009위안(약18만원)으로 치솟았다. 이는 2011년 이래 최고가이자 지난해 같은 시기에 두 배 이상 폭등한 것이다.


발전용 석탁 가격의 상승세는 지난 달에도 이어지고 있어, 양질의 호주산 석탄 외에 대안책이 전무한 중국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중국 내 발전용 석탄 수요는 매년 10% 씩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 앞으로도 상황은 쉽게 개선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올해 2억 5천 만톤 규모의 신규 석탄 생산 계획을 발표하는 등 호주산 석탄을 구매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석탄 공급난을 해결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당장 찾아올 겨울철 전력수요 폭증과 산업전력 공급난을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석탄 자체 생산 계획은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는 데에만 최소 3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하고, 품질 역시 호주산에 비해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석탄 부족 문제에 대해, 호주의 도움 없이는 전력난이 일상화되면서 난방은 고사하고 도시 전체의 공급할 전력마저 부족해 원시시대 수준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 중국 전역에서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했다.


후난성과 저장성, 장시성 등 남쪽에서부터 시작된 정전 사태는 네이멍구, 광동성 등으로 확산됐고 심지어 서부의 쓰촨성을 비롯해 중국 최대 도시 베이징과 상하이까지 여파가 이어졌다.


중국의 수출을 주도하는 중소기업들이 밀집된 저장성 역시 공장 가동을 중단하라는 정부의 통보를 받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펼쳐졌다.


중국 당국은 전력 부족 장기화에 대해 바깥 기온이 3도 이상에서는 남방조차 킬 수 없게 하였고, 실내온도 역시 16도 이하로 맞추도록 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당시 이러한 극단적 조치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계속 악화되자 웨이보 등 중국 SNS에는 “사무실이 너무 추워서 얼어 죽을 지경이다”, “엘리베이터가 멈춰 30층까지 걸어 올라갔다”, “가로등이 모두 꺼져 귀가길이 무섭다”, “샤워 도중 갑자기 불이 꺼져서 낭패를 봤다” 등 수많은 피해를 호소가 이어졌다.


중국의 입장에서 호주와의 악연은 ‘석탄’ 문제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서아프리카 기미의 쿠데타 여파로 인해 글로벌 알루미늄 선물가격까지 10년 새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알루미늄의 원석인 ‘보크사이트’ 세계 최대 수입국인 중국이 기니발 공급 차질에 굴욕적으로 호주산을 수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호주는 세계 2위 보크사이트 수출국이다.


이에 지난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들은 기니 사태로 중국과 호주가 엇갈린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매체는 중국의 전체 보크사이트 수입 물량 중 절반 이상은 기니산이지만, 이번 사태로 보크사이트 공급이 중단될 경우 중국은 세계 2위 보크사이트 수출국인 호주의 광산업체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


뿐만 아니라 기니의 보크사이트 공급 불안정으로 인한 추가 가격 상승 역시 불가피한 상황이라 이번 사태의 최대 수혜국은 호주가 될 것이라고 분석되고 있다.


심지어 최근 호주 정치권에서는 중국에게 가장 중요한 철광석과 석탄 등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안 등이 나오고 있어, 보크사이트 수출까지 호주가 압도적인 우위에 서게 될 경우 ‘갑질’ 이라는 칼자루는 호주에게 완벽하게 넘어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다.


게다가 호주는 막대한 타격을 입은 중국의 상황과는 정반대로 한국과 인도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에게 수출 방안을 다변화해 중국의 제재로 인한 손실을 95% 이상 회복하는데 성공해 냈고, 석탄 또한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며 우호 관계를 다지는 실리까지 챙겨가고 있다.


중국은 호주에 대한 경제 보복을 통해 자신들이 호주에 의존하는 분야가 매우 많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스스로 드러냈다.


또한 일련의 사태들에서 중국이 보인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감정적 대응은 이 나라의 실체가 국제적인 수준에 얼마나 미치지 못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호주와의 갈등을 통해 중국의 진짜 민낯과 약점을 여실히 알게 된 세계 각국에 반격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 이 시국에 지금



미디어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54 ‘백신패스 반대’ 국민청원 봇물... “사회 분열·기본권 ....
한상진 기자
21-10-27
453 ‘오징어 게임’... 中 장기적출 재조명
한지연 기자
21-10-21
452 佛 국방부 연구소... 中, 자금 지원·소셜미디어 통해 해....
박정진 기자
21-10-05
451 '中 강제장기적출 근절' 위한 국제 세미나
디지털뉴스팀
21-09-29
450 [SOH이슈] 濠와의 갈등으로 드러난 中의 실체
미디어뉴스팀
21-09-12
449 美 해병 사령관, 국방부 군인 백신 강제 접종 추진 맹비....
디지털뉴스팀
21-08-30
448 [SOH 이슈] ‘하나의 중국’ 타격한 리투아니아... 골리앗....
미디어뉴스팀
21-08-12
447 濠 학자, 韓에 親中 행보 경고 “이대로 가면 나라 뺏길 ....
미디어뉴스팀
21-07-26
446 [SOH 이슈] 中 대사의 무례한 내정 간섭, 이대로 괜찮은....
미디어뉴스팀
21-07-22
445 [SOH 아슈] 미국판 일대일로(一帶一路)의 내막
미디어뉴스팀
21-06-22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77,997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