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과 중국이 우한폐렴(코로나19), 홍콩 국가보안법 강행 등을 두고 첨예한 갈등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미 정부가 국가 정보 보호를 이유로 텍사스주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폐쇄한다고 밝혔다.
22일(현지시간) AP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모건 오테이거스 대변인 명의로 낸 성명에서 “미국의 지적재산권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에 폐쇄를 명했다”며 “중국이 미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국민을 위협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국무부는 중국 총영사관 폐쇄 결정에 트럼프 대통령의 뜻이 반영됐음을 시사했다.
덴마크를 방문 중인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장기간 미국뿐 아니라 각국의 지식재산권을 탈취했다”면서, “우리는 총영사관 폐쇄 명령을 내리기 전 중국 공산당의 행위에 대해 충분히 경고했다. 이번 명령은 미국 국민의 안보, 경제,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상원 정보위원장인 마르코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도 트위터에 “휴스턴 총영사관은 중국 공산당의 미국 내 스파이 및 정보 공작 네트워크의 중심인 거대한 스파이 센터”라며 마땅히 폐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루비오 의원은 “그들은 (정부의 명령에 따라) 72시간 내에 미국을 떠나야 하며 그렇지않으면 체포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익명의 미국 관료를 인용해, “중국 인민군은 중국인 학생들을 미국의 대학으로 파견했으며, 휴스턴 총영사관이 모든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은 미중 국교 수립 후 1979년 중국이 미국에 처음으로 세운 총영사관으로 텍사스, 플로리다 등 미국 내 8개 주를 관할하고 있다.
휴스턴 총영사관은 미국 정부로부터 72시간 내 총영사관을 폐쇄하라는 통보를 받은 뒤 대형 쓰레기통 여러 개에 나눠 문서를 소각하는 장면이 목격됐다. 이 과정에서 연기가 발생해 휴스턴 경찰과 소방대가 신고를 받고 출동했으나 총영사관 내 진입을 거부당했다.
지난 2005년 호주로 망명한 천융린(Chen Yonglin) 전 중국 영사에 따르면 전 세계 중국 대사관과 총영사관 직원들은 지역 정치인과 정부 관계자들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공산당원과 자국의 학생들을 동원해 당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필수 임무다.
천 전 영사는 “해외에서의 통제는 주재하고 있는 국가의 주류로 침투하기 위한 중국 공산당의 전략적인 목표였다”고 폭로했다. 그는 호주로 망명 전 시드니 주재 중국 총영사관 영사로 활동했다.
그는 이어 “이것은 호주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미국, 캐나다 등 다른 국가에서도 이런 방법이 이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도 미국의 이번 명령을 확인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는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전날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사흘 안에 폐쇄하고 모든 인원이 떠날 것을 전격 명령했다”고 밝혔다.
미 국무부의 한 소식통 따르면 중국은 이번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우한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를 검토 중이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