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범죄인 인도법’ 개정 반대 시위로 촉발된 홍콩 문제를 둘러싸고 영국과 중국의 갈등이 커지는 가운데, 제레미 헌트 영국 외무장관이 최근 중국에 영·중 공동선언을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헌트 장관은 “정부는 주영 중국 대사와 외교관을 국외로 추방하는 등의 제재를 부과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홍콩에서는 지난 1일 주권 반환 22주년을 맞아 ’범죄인 인도법’ 개정 철회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당시 시위에는 약 55만명의 시민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새벽, 홍콩 경찰 당국은 최루탄 발사 등을 통해 시위자들을 강제 해산했다.
헌트 장관은 1일 트위터를 통해 영국 정부는 홍콩과 ‘흔들림 없는 자유’를 지지한다는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2일 “홍콩 시민은 영중 공동성명으로 자유와 권리를 누리고 있다. 중국 당국이 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문서를 준수하기를 희망한다.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3일 류샤오밍(劉暁明) 주영 대사는 기자회견을 통해 홍콩을 둘러싼 영국 정부의 발언은 “중국에 대한 내정 간섭”이라며, “영국 정부는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가 아님을 앚었다. 헌트 장관의 발언은 양국 관계를 해쳤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 같은 류 대사의 발언에 불만을 나타낸 영국 외무부는 같은 날, 류 대사를 초치해 발언에 관한 설명을 요구했다.
메이 영국 총리는 3일 의회에서, 앞서 6월 말 진행된 오사카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주석에게 홍콩 시위 당시 무력진압에 대해 우려를 전달했다며, “영중 공동선언에 규정된 홍콩의 고도의 자치와 시민의 권리와 자유가 존중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영국 외무부는 지난달 25일 발표한 성명에서, “1984년에 발효된 영중 공동선언은 여전히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영국은 영중 공동선언에서 정한 자국의 권리와 의무를 모두 이행했다. 따라서 영국은 홍콩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영중 공동선언을 파기하려 하는 중국 당국에 대해 헌트 장관은 4일 영국 B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영국은 중국 외교관을 국외 추방하는 등의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현재의 홍콩 정세에 대한 우려와 자유와 법치를 요구하는 홍콩 시민들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장관은 중국 당국과의 갈등으로 경제 보복을 당할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 “우리는 우리의 가치관을 지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영중 공동선언을 준수한다는 기본 원칙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