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미국과 중국이 무역 갈등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결국 관세 전쟁을 시작했다.
6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행정부는 오전 0시01분(동부시간)을 기해 앞서 예고한 대로 340억 달러(약 38조원)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 818개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발효시켰다.
미국은 이번 관세 공격의 대상을 중국이 최우선 과제로 집중 육성하는 ‘중국제조 2025’의 주요 품목인 항공우주·정보통신기술·로봇공학·산업기계·신소재·자동차 등의 제품을 정조준 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성명을 통해 “중국의 지적재산권·기술 침해 행위에 대응해 미국은 산업적으로 중요한 기술을 포함하는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성명과 관련해 미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제조 2025’와 관련된 첨단제품이 대거 포함된 1102개의 관세부과 대상 품목을 공개했다.
미국은 500억 달러어치의 관세부과를 2단계로 나눠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날 340억 달러 규모 818개 품목에 먼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나머지 160억 달러 284개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도 2주 내에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미국이 관세부과를 실행할 경우 같은 규모와 강도로 즉각적인 보복을 예고했던 중국도 곧바로 미국과 같은 액수인 34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대두, 돼지고기 등 농산물과 자동차 등 545개 품목에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중국 해관총서의 관세 징수 책임자를 인용해 중국의 대미 일부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가 이미 이날 낮 12시1분부터 발효됐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조치와 동시에 보복에 들어간 것이다.
중국은 보복관세 대상 품목을 자세히 밝히지 않았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정치기반을 타깃으로 삼은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부과 조치에 중국이 보복에 나설 경우, 더 큰 규모의 관세 응징을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는 5일 몬태나주로 가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중국이 보복을 할 경우 총 5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규모는 미국이 작년에 대중국 수입액과 맞먹는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미중 무역전은 양국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일으켜 지구촌 경제가 약 2조달러(2232조원) 규모의 경제 손실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 AP/NEWSIS)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