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7월 산업생산이 1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 따른 중국의 경기 침체가 매우 심각하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신화망(新華網)과 인민망(人民網) 등은 국가통계국이 이날 발표한 경제지표를 인용해 중국 7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하는데 그쳤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달의 6.3%와 시장 전망치 6.0%를 크게 하회한 수치이며, 특히 지난 2002년 2월 이후 17년 5개월만에 나온 가장 저조한 신장률이다.
이날 발표된 다른 중국의 경제 지표들도 대부분 시장의 기대치를 밑돌았다.
중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내수시장의 활력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7월 작년 동월보다 7.6% 증가하는 데 그쳤고, 전달의 9.8%와 시장 예상치 8.6%에도 모두 못 미쳤다.
1∼7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5.7%에 그쳐 연중 최저 수준에 머물렀고, 7월 기준 전국 도시 실업률은 전달보다 0.2%포인트 오른 5.3%로 집계돼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매매출액 경우 지난해 동기대비 7.6% 증가했으며 시장 예상치 8.6%에도 1.0% 포인트나 밑돌았다.
이러한 상황은 모두 중국 정부가 각 지방정부에 인프라 투자 속도를 높일 것을 독려 중인 가운데 나타난 것으로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장기화하면서 국내외 수요 부진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성장률과 관련성이 높은 산업생산 증가율을 비롯한 여러 지표가 이처럼 부진하게 나오면서 중국은 올해 마지노선인 6% 경제성장률 사수에 비상이 걸렸다.
세계통화기금(IMF)은 지난 9일 펴낸 중국 경제 연례보고서에서 미국의 새 추가 관세 부과가 없다는 전제하에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2%로 예상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