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중국 내 사업 환경이 악화하면서 중국 남부에 진출해 있는 미국 기업들 중 약 70%가 생산라인 일부 또는 전부를 타국으로 이전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전했다.
중국 화남에 소재한 미국 상공회의소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중국 내 미 기업 대부분은 무역전쟁으로 인한 손해가 타국에 비해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공회의소 측은 지난 9월 21일~지난달 10일까지 219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를 토대로 이 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대상 기업의 64%가 생산 라인을 중국에서 이전할 것을 검토하고 있지만, 북미에 생산 거점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기업은 전체의 1%에 그쳤다.
보고서는 “약 70% 이상의 미국 기업이 중국에 대한 투자를 연기하거나 중지할 것을 검토하고 있고 부분적 철수나 완전 철수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과 산업 집적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남 미국 상공회의소의 할리 세예단(Harley Seyedin)은 통신에 “최근 기업들의 수주가 줄거나 신규 주문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미 관세 제재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분야는 도매업과 소매업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의 보복관세 조치로 인한 영향은 농업·산업 관련 기업에 집중되고 있다.
또 (미중 양국의) 관세 제재로 인한 타격과 관련해, 중국 내 미 기업들은 약 85%가 관세 제재로 타격을 받고 있다고 밝힌 데 반해, 같은 입장을 나타낸 중국 기업은 70%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는 중국 당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수단인 비관세 장벽을 높였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약 50%가 중국이 감독관리 강화, 통관수속 지연 등을 통해 비관세 장벽을 높였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9월 미국과 중국이 각각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의 추가 관세와 600억 달러 상당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실시한 후 이뤄졌다.
한편, 트럼프 정부는 중국이 이번 갈등에 대한 개선안을 내놓지 않을 경우, 1월 1일부터, 2000억 달러분의 추가 관세 세율을 현재의 10%에서 25%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