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일대일로(一帯一路)’에 참여한 대다수 개발도상국(개도국)이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고 중국 경제 및 정책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지난 4월 12일 광저우에서 열린 경제포럼에 참석한 리뤄구(李若谷) 전 중국 수출입은행 대표이사의 발언을 인용해, “‘일대일로’의 참여국들이 대부분 빈곤한 개도국들이어서 중국으로부터 도입한 차관을 감당할 능력이 없다”고 전했다.
리 전 이사는 “‘일도일로 참여국의 평균 부채비율(liability ratio)과 부채비율(debt ratio)은 각각 35%과 126%로, 세계적 경고수준인 20%과 100%를 상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계 싱크탱크 연구원이자 국무원 개발연구센터 부국장인 왕이밍(王一鳴)도 이 포럼 강연에서 “일대일로 사업은 매년 5000억 달러의 자금 부족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싱크탱크들도 일대일로의 부채 함정에 대해 계속 경고해왔다.
뉴델리 정책연구소의 브라마 첼라니Brahma Chellaney) 연구원은 중국 공산당 정부의 대출 투자는 국제통화기금(IMF) 및 세계은행과 달리, 장기적으로 전략적 가치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만 진행된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면, 일대일로 프로젝트로 고금리 채무상환에 몰렸던 스리랑카는 자국의 함반토타(Khambatota) 항구 운영권을 99년간 중국에 양도했다. 이 항구는 유럽에서 아프리카, 중동을 잇는 중요한 인도양 무역루트에 있다.
미국 워싱턴에 본부를 둔 국제전략연구센터(International Strategic Research Center, ISRC)에 따르면, 각국에서 진행되는 일대일로 사업의 약 89%는 중국기업이 주도한다.
따라서 일대일로를 수용한 각국은 막대한 차관 부담만 끌어안을 뿐 경제적 혜택은 거의 얻지 못한다.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와 동남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를 구축하는 경제 인프라 건설 구상으로 고속철도망과 대규모 물류 허브, 에너지 기반시설 연결 등이 포함돼 있다. (사진: AP/NEWSIS)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