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최근 미국의 대북 및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미국 기업과의 거래 중단 제재를 받은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ZTE(중싱통신)가 미 정부에 제재 유예를 공식 요청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간),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ZTE(중흥통신)이 이란에 통신 관련 설비를 불법 수출해 대이란 제재를 위반한 것에 대해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7년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ZTE에 대해 이란 제재 위반으로 11억9000만달러(약 1조2775억원)의 벌금을 부과한 데 이은 추가 조치다. 미국은 ZTE가 과거 상무부 조사 과정에서 허위 진술했다는 이유로 이 같은 특단을 내렸다.
이에 따라 미국 기업들은 스마트폰 등 통신 기기에 필요한 반도체 부품을 ZTE에 직접 수출하거나 제3국을 통해 수출하는 것이 완전히 금지됐다.
ZTE는 미국 기업으로부터 전체 부품 중 25~30%를 수입하는 등 휴대전화에 들어가는 반도체와 통신장비의 주요 구성품 등 상당수 부품을 미국에 의존하고 있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ZTE도 이번 제재에 대해 회사의 존립이 위협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6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ZTE는 성명을 통해 미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에 제재 유예를 요청했으며, BIS의 요구에 따라 추가 자료도 제출했다고 밝혔다.
ZTE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미중 간 주요 갈등 현안 중 하나로, 중국은 지난 3~4일 베이징에서 열린 미·중 무역 관련 협상에서도 이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ZTE는 미국 내 스마트폰 판매시장에서 4위를 차지했다.
미국 상무부는 7년간 거래 금지 조치를 발표 즉시 발효하며 ZTE가 조치를 번복할 수 있는 ‘출구’는 없다고 입장을 밝힌 이후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사진: NEWSIS)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