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미국 상무부가 중국 대표 통신장비 기업 ZTE에 대한 견제 강화에 나섰다.
16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날 상무부는 ZTE가 북한과 이란에 대한 제재를 위반한 것과 관련해 향후 7년간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중지하도록 조치했다.
ZTE는 지난 2012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미국 기업들로부터 구매한 3천200만 달러 상당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제품을 적법한 승인 절차 없이 이란 전기통신사업자인 TIC에 제공한 혐의로 상무부의 조사를 받았다.
상무부는 이와 관련해 ZTE 측에 11억9천만 달러(약 1조2천775억 원)의 벌금을 부과했지만, ZTE가 조사 과정에서 허위 진술을 한 것이 밝혀져 이번 조치를 결정했다.
지난해 텍사스 연방법원은 ZTE가 미국의 대이란 수출금지령을 위반한 혐의를 유죄로 인정해 11억8천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당시 ZTE는 제재 위반에 가담한 고위 임원 4명을 해고하고 35명에 대해선 상여금 삭감 혹은 견책 등의 징계를 하기로 상무부와 합의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았다. 지난달 ZTE는 이에 대해 임원 4명은 해고했지만, 다른 35명에 대해서는 징계 등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
상무부의 조사에서 ZTE는 북한과도 거래한 것으로 드러났다. ZTE는 283차례에 걸쳐 북한에 휴대전화를 수출했으며, 제재 위반 사실을 감추기 위해 3자 거래 방식을 이용했다고 시인했다.
이에 대해 상무부는 “ZTE의 불법적인 행위를 근절한다”는 이유로 향후 7년간 미국 기업에서 반도체 등 제품과 기술을 수입할 수 없게 하는 이번 조치를 추가 제재 수단으로 선택했다.
시장조사기관 IBS에 따르면 ZTE는 자사 스마트폰·통신장비에 들어가는 부품 25∼30%를 미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지난해에도 약 16억 달러에 이르는 미국산 반도체를 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 상부무의 이번 조치는, 앞서 지난 2월 미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2명이 안보위협을 이유로 미 정부가 ZTE와 화웨이의 장비 구매하거나 임차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한지 두 달 만에 나왔다. (사진: AP/NEWSIS)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