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중공)의 당 규율(黨紀)이나 이데올로기를 학습하는 앱 ‘학습강국(學習强國)’ 에 당국에 기밀 관리 권한을 넘겨 휴대폰 소유자의 모든 정보를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사실이 한 단체의 조사에서 밝혀졌다. 이 앱은 현재 1억명 이상의 중국인이 사용하고 있다.
미국 연방의회가 지원하는 자유아시아방송(Radio Free Asia)의 지원을 받는 단체인 ‘열린 기술 기금(Open Technology Fund)’은 지난 14일, 독일 IT 조사회사와 협력해 중공 당국과 IT 대기업인 알리바바가 만든 앱 ‘학습강국’의 코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중공 당국은 이 앱을 통해 사용자 전화의 모든 메시지, 사진, 주소록, 브라우저 이력을 수집할 수 있으며, 녹음 기능도 언제든 활성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단체의 기술 담당자, 사라 아웅(Sarah Aoun)은 워싱턴 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중공 당국은 1억명 이상의 앱 사용자의 휴대전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은 시민을 일상적으로 감시하고 그 규모도 확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중공 당국은 2019년 1월 ‘학습강국’ 앱을 발표했다. 이 앱은 시진핑 주석의 발언과 ‘중국의 특색 있는 사회주의의 신시대’에 관한 기사와 비디오 콘텐츠 등을 담고 있다. 사용자는 기사를 읽거나 리뷰를 작성하여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우수 획득자의 랭킹이 표시되기도 한다.
‘학습강국’은 발표된 후 중국 애플 스토어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이다. 관영신문에 따르면 현재 약 1억명의 중국인이 이 앱을 설치했다.
이 앱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본명과 휴대전화 번호를 등록해야 한다. 중국에서 SIM 카드를 구입하려면 개인번호(신분 증명서에 해당)를 등록해야 하기 때문에 정부가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다.
‘학습강국’ 앱의 사용은 개인의 자유의사와 관계가 없다. 중공은 당원과 간부에게 다운로드 하도록 지시를 내렸고, 또 일부 고등학교, 대학교, 기업에서는 앱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앱 설치 의무 대상자들은 앱 사용에 대한 강요와 소극적인 사용시 불이익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이용자들의 앱 사용 상황을 점수화시켜 일정 포인트 이상을 넘지 못할 경우 반성문을 요구하거나 감봉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WP에 따르면, 이달 베이징에서 약 1만 명의 기자와 편집자가 실험적으로 학습강국 사용과 관련된 테스트를 받았다. 테스트는 이 앱을 이용해 ‘시진핑 사상’의 습득 레벨을 측정하는 것으로, 합격자만이 새로운 기자증을 취득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앱은 전체주의 정권이 이데올로기 습득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현대판 마오쩌둥 어록’에 비유되고 있으며, 중국 네티즌들은 ‘디지털 수갑이 채워진 것과 같다’며, 당국의 학습강국 사용 요구를 비난하고 있다.
최근 ‘열린 기술 기금’은 독일 네트워크 세큐리티 기업인 Cure53과 공동으로 이 앱을 조사해 숨겨진 기능을 밝혀냈다. 조사에 따르면 학습강국 앱에는 백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Cure53의 조사원이 스마트폰 소유자의 시스템을 임의로 조작하는 ‘수퍼 유저’가 될 수 있었다.
수퍼 유저는 백도어를 통해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파일 및 데이터 변경,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사용자 위치 송신, 사용자의 전화번호부를 찾아서 전화 걸기, 채팅 앱 조작, WiFi 접속, 그리고 전등을 켜는 것도 가능하다고 한다.
기금 연구개발 책임자인 아담 리안 씨는 “이 수퍼 유저의 접속 권한은 극히 이례적”이라며, 이 앱을 통해 대량의 사용자 데이터나 조작 기록 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을 수집하고 송신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중국 국무원 정보국 홍보 담당은 관련 사실을 모두 부인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