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이 우한폐렴(코로나19)의 자국 기원설을 계속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우한연구소가 코로나19 발병 이전에 전염성이 강한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만들어 동굴 박쥐에 전파하는 실험을 모색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현지시간) 영국 온라인 일간 ‘텔레그래프’ 등은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위해 전 세계 과학자들이 만든 웹 기반 조사팀 드래스틱(Drastic)이 공개한 문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우한연구소 과학자들은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하기 18개월 전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의 새로운 ‘키메라 스파이크 단백질’을 포함한 피부 침투 나노입자를 윈난성의 동굴 박쥐에 전파할 계획을 세웠다.
이들은 또한 인간을 더 쉽게 감염시키기 위해 유전적으로 강화된 키메라 바이러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를 만들 계획을 세웠고, 고위험 천연 코로나바이러스 변종과 더 전염성이 있지만 덜 위험한 변종을 혼합하는 계획도 수립했다.
이번에 드래스틱이 공개한 문서에 따르면 당시 우한 연구팀은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인간 특유의 분절 부위(cleavage sites)를 삽입하기 원했다.
현재 델타 변이가 강력한 전염력을 갖게 만든 가장 유력한 요인이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내 '퓨린 분절 부위(furin-cleavage site)'다. 퓨린 분절 부위 변이는 현재 알파와 델타 변이에서 모두 나타난다.
옌리멍 홍콩대 공중보건대학 박사는 이를 근거로 들어 "퓨린 분절 부위는 자연적으로는 만들어질 수 없는 것"이라며 코로나19의 우한 연구소 기원설을 제기한 바 있다.
하지만 WHO와 글로벌 과학계는 옌 박사의 주장에 대해 “타당성이 적다”는 입장을 취해왔다.
우한 연구팀은 키메라 바이러스 연구 계획과 관련해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에 연구비 1400만달러(약 166억원)를 지원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팀에는 코로나19의 바이러스 유출 책임자로 지목돼온 스정리 박사도 포함되어 있다.
미국에 연구비를 요청하는 제안은 우한연구소와 밀접하게 일했던 피터 다작 '에코헬스 얼라이언스' 대표가 맡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DARPA는 “제안한 과제는 지역 사회에 치명적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자금 지원을 거절했다.
피터 다작은 지난 2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도하는 코로나19 기원 조사팀에 합류한 바 있다.
그는 당시 조사에서 코로나19가 중국 우한 시장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이나 상품 등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하며, 우한연구소의 의도적인 실험에 따른 전파 가능성을 배제했다.
한편, 우한연구소의 키메라 바이러스 계획과 관련해 익명을 요청한 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연구원은 “매우 무서운 계획”이라며 “이러한 바이러스의 치사율은 30% 이상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보다 최소 10배 이상 치명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만약 키메라 바이러스가 퍼졌다면 인류는 아마 종말 상태에 빠졌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